728x90 반응형 음식103 섬광처럼 빠르게 먹어 치운다 - 에끌레르 유튜브가 보급되면서 일명 쿡방이라는 채널들이 많아졌습니다. 게다가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해외의 많은 유튜버들이 음식들을 만드는 과정을 촬영해 업로드를 합니다. 저는 에끌레르도 역시 이렇게 해외 유튜버가 만드는 과정을 촬영하여 업로드를 한 것을 보고 알게 되었습니다. 빵가게에서 비슷한 것을 먹어본 적이 있지만은 그게 에끄레르인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에끌레르의 뜻은 프랑스어로 섬광으로, 에끌레르가 너무 맛있어서 섬광처럼 빠르게 먹어치운다는 의미도 있다고 하는데요. 어떤 역사가 있는지 만드는 방법 등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섬광처럼 빠르게 먹어 치운다 - 에끌레르 에끌레르? 에끌레르는 길쭉한 모양의 슈 페이스트리에 다양한 맛의 크림으로 속을 채우고, 퐁당 아이싱을 입혀서 만드는 프랑스의 대표적인 디저.. 2020. 5. 18. 200년동안 관상용 식물이었다? - 토마토 평소 저는 과일이나 채소 등을 먹을때 처음 이것을 먹게된 계기, 먹을 수 있는 것이라는 것을 어떻게 알게 되었을지가 무지 궁금했습니다. 그런 제가 재밌게 읽을 수 있을 것 같은 책을 찾았습니다! 그 책은 바로 「세계사를 바꾼 13가지 식물(저자 : 이나가키 히데히로)」 입니다. 읽다보니 제가 평소 가지고 있던 궁금증을 잘 해결해주는 책이였습니다. 무척 재밌게 읽고 있는데요. 이 책에 토마토에 대한 이야기가 있습니다. 토마토가 200년간 유럽인들에게 배척당했다는 것이 흥미로운데요. 가짓과 식물에는 독성이 있는 식물이 여럿 있는데 토마토가 가짓과 식물들과 비슷하게 생긴 탓에 당시 유럽인들은 토마토에도 당연히 독이 있을거라 생각했고, 색까지 빨게서 식용으로는 기피대상이였다고 합니다. 더욱 흥미로웠던 점은 실제.. 2020. 5. 17. 새해를 알리는 떡국 '떡은 가장 귀한 제사 음식으로 자리 잡으면서 우리 민중과 함께 살아온 역사적 산물입니다.' 지난번 떡에 대해 알아볼때 본문에 나왔던 내용입니다. 이처럼 우리에게 떡은 여러 의미가 깃들어 있습니다. 어려운 시험에 붙었을때, 이사를 했을때, 새로 사무실을 열었을때, 아기가 태어나 100일을 맞고, 돌이 되었을때, 기쁜 일, 축복할 일, 감사를 전할때 등. 본문의 글처럼 우리 민중과 함께 살아온 역사적 산물입니다. 그런 의미가 깃든 떡으로 만든 음식이 있는데요. 바로 떡국입니다. 새해에 꼭 챙겨먹죠. 이런 떡국에 어떤 의미가 있는 것인지 새해에 덕국을 먹는 것이 어디서 유래가 되었는지 등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새해를 알리는 떡국 설날엔 떡국! 떡국은 설날에 먹는 절식의 하나입니다. 설날에 떡국을 먹.. 2020. 5. 16. 우리나라 명절과 잔칫상에 빠지지 않는 떡 빵이나 과자 같은건 대부분 다 좋아하는 편인데, 떡은 안좋아하는게 딱 있어요. 송편을 별로 좋아하지 않습니다. 추석에 송편을 꼭 손으로 만들었는데, 저도 함께 만들거든요. 좋아하지도 않고, 많이 먹어야 2~3개인데, 솔직히 기쁜 마음으로 만들게 되진 않더라구요. 처음 한 두번이야 송편 만들면 명절 느낌도 나고 좋다 했지, 즐거움은 잠시뿐이였습니다. 떡 중에서는 팥고물이 들어있는 떡을 제일 좋아합니다. 팥고물의 달달한 맛이 좋더라구요. 우리나라에서 떡에 많은 의미가 들어 있는 것 같습니다. 떡과 관련된 문화와 만드는 방법 등 떡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리나라 명절과 잔칫상에 빠지지 않는 떡 떡의 역사 우리나라에서 언제부터 떡을 만들어 먹기 시작하였는지는 확실하지 않으나, 원시농경의 시작과 함께 행.. 2020. 5. 15. 이전 1 ··· 20 21 22 23 24 25 26 다음 728x90 반응형